개는 우리 인간사회 전반에 걸쳐 길들일 수 있는 포유동물로 인간과 가장 친숙한 동물 중 하나이다. 분류학(Taxonomy) 적으로(종·속·과·목·강·문·계) 늑대(C. lupus), 개속(Canis), 개과(Canidae), 식육목(Carnivora), 포유강(Mam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동물계(Animalia)이며 회색늑대(Canis lupus formenis)의 아종이다.
따라서 생물학적으로 늑대와 완전히 같은 종이라고 할 수 있다. 흔히 옛말이나 우리 주변에서 진돗개의 조상이 늑대다 또는 개의 조상이 늑대다 라고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틀린 개념이다 왜냐하면 개와 늑대는 동시대를 살아가고 있고 같은 조상에서 갈라져 나온 동물도 아니기 때문이다. 개와 늑대의 유전적 차이는 고작 0.04%미만이고 이 수치는 황인, 백인, 흑인간 유전적 차이인 0.1%보다도 적은 수치이다. 더 나아가 개가 인류와 함께 지내게 된 것은 계통 전체의 역사에 비하면 극히 찰나의 순간에 불과하기 때문에 늑대로부터 독립된 종으로 보기엔 턱없이 짧은 순간이다. 그리고 우리가 같은 종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경우는 그 둘의 염색체 수가 같아 교배가 가능해야하는데 개와 늑대는 몇 대를 거치더라도 정상적인 교배가 가능하며 같은 종임을 반증한다(세대가 변하면서 유전적 차이가 조금씩 드러나고 있음에도 완전한 종분화가 되려면 한참 남음). 실제로 개를 길들이지 않고 야생에 방생하면 늑대와 같은 모습과 생태를 보인다고 한다.
개와 늑대의 다른점을 뽑자면 한 연구에서 늑대는 독립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반면, 개는 문제에 직면하자 사람에 의지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점이다. 이는 개에게는 윌리엄스-보이렌 증후군(Williams-Beuren Syndrome WBS)과 유사한 돌연변이에 의해 성격적으로 인간에게 친밀한 유전자를 갖게 되어서 그렇다고 한다. 또한 개들은 다양한 모양, 크기, 색깔 등 각자 고유한 특성을 갖고 있는데 이는 인간에 의한 교배로 품종개량된 것이다.
그리구요.. 제발 이 강아지 짤들 한번씩만 보고 가줘요..
어떤 동물을 고양이(Felis catus)라고 부를까? (Feat. 고양이 짤)
고양이는 분류학(Taxonomy) 적으로(종·속·과·목·강·문·계) 고양이(F. Catus), 고양이 속(Felis), 고양이과(Felidae), 고양이아목(Feliformia), 식육목(Carnivora), 포유강(Mam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동물계(Ani
dyp-arty.tistory.com
'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는 왜 엉덩이 때리는 걸 좋아할까? (0) | 2023.02.15 |
---|---|
고양이가 면봉을 좋아하는 4가지 이유 (0) | 2023.02.14 |
고양이는 왜 바나나를 무서워할까 (0) | 2023.02.14 |
포메라니안(Pomeranian) (0) | 2023.02.14 |
어떤 동물을 고양이(Felis catus)라고 부를까? (Feat. 고양이 짤) (0) | 2023.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