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물

강아지 알러지 있는 사람들 추천 견종 TOP 10 강아지를 키우고 싶어도 알러지가 있어서 분양하기 또는 키우기 망설이고 계시는 분들 있을탠데 알러지가 있어도 키울 수 있는 견종 간략하게 소개해드립니다 1. 비숑(Bichon Frise) 2. 꼬동 드 툴레아(Coton de Tulear) 3. 슈나이저(Schnauzer) 4. 허배너스(Havanese) 5. 말티즈(Maltese) 6. 푸들(Poodle) 7. 풀리(Puli) 8. 요크셔테리어(Yorkshire Terrier) 9. 라고토 로마그놀로(Lagotto Romagnolo) 10. 스패니쉬 워터도그(Spanish Water Dog) 이상으로 강아지 알러지 있을 때 키우기 쉬운 견종 TOP 10 이었습니다. 여담으로 애기들과 함께 반려견을 키우면 아이들의 후천적 알러지와 천식에도 강해진다네요. 감.. 더보기
고양이들이 서로 싸우는 이유 한 밤중에 고양이 싸우는 소리에 잠 깨본적 한 두번 아닐겁니다 이놈 쉬키덜. 고양이들은 왜 서로 싸우는 건가요? 돈 꾸고 안 갚았나, 법이 없어선가.. 네 바로 알아보겠습니답. 일단 고양이들은 야행성 동물로 보통 밤에 싸우는데요. 1차적으로 울음소리를 내며 상대에게 겁을 주죠 이때 도망가면 발톱을 꺼내진 않지만, 상대가 그럼에도 버티면 이제 일기토 하는거죠. 대결 상대도 자주 보는 고양이 말고 주로 낯선 고양이와 많이 충돌한다고 하네요. 고양이 중에서도 집 고양이와 야생 고양이들은 서로 싸우는 이유가 다른데요. 집 고양이들은 밤낮 가릴 것 없이 싸웁니다. 같이 자란 고양이들은 서로 놀고, 뒤엉키며, 같이 먹고, 또 경고 없이 싸우죠. 집 고양이들이 싸우는 첫번째 이유는 그룹 내 우위를 점하기 위함인데요... 더보기
고양이는 왜 엉덩이 때리는 걸 좋아할까? 고양이의 엉덩이 부분을 Tap Tap 하듯 쳐본 적 있나요? 그럴때마다 고양이는 몸을 부풀리며 은근히 즐기는 듯 하죠? 이 이유에 대해 궁금하신 적 없으셨나요? 아래에서 알아보겠습니다~ 고양이들은 꼬리쪽 더 나아가 머리를 텁텁 치는 것을 좋아하는데요. 그 이유는 때릴 때 생기는 압력이 고양이를 안정시켜주고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킨다고 합니다. 꼬리쪽에는 특히 수많은 신경들이 있는데 평소에 이 신경들을 자신들이 건들 수가 없으니 외부의 압력이 있을 때 이를 활용하는 것이죠. 이는 단순히 생리적인 반응을 넘어 정신적인 반응을 일으킨다고 하는데요. 고양이들의 엉덩이가 텁텁 쳐질때마다 이문세 선생님의 옛생각처럼 과거를 회상하게 되는거죠. 어렸을 때 어미가 자신의 몸을 정갈히 해줄때와의 감각.. 더보기
고양이가 면봉을 좋아하는 4가지 이유 고양이들이 왜 면봉을 좋아하는지 아시나요? 4가지 이유 알아보겠습니다. 고양이들은 보통 조그만 물체를 좋아하는데요 특히 그 물체를 젤리발바닥으로 굴릴 수 있으면 아주 신이나버리죠. 그 중에서도 왜 하필 면봉을 그렇게 좋아하는지 궁~금합니다 첫번째, 면봉이 갖고 놀기 재밌습니다. 고양이들은 본능적으로 예측불가하게 움직이는 물체를 갖고 노는 것을 좋아하는데요. 면봉은 다들 아시다시피 한쪽을 치면 다른 한쪽을 축으로 삼아 돌잖아요? 반대로 그 축이 되는 쪽을 치면 다른 한쪽이 다시 축이 되어 또 돌고.. 재밌긴 하겠네요. 두번째, 면봉이 씹기 재밌습니다. 반려동물의 장난감은 동물들의 여러 감각을 깨워주려고 디자인되는데요. 면봉 또한 그러한 면에서 매우 비슷합니다. 면봉은 유연하고, 양쪽엔 부드러운 솜과 가운데.. 더보기
고양이는 왜 바나나를 무서워할까 혹시 이런 말 들어보셨나요 고양이들은 바나나를 무서워한다는 말? 전 개인적으로 처음 듣습니다. 네 인터넷 돌아다니다가 어쩌다가 보게 된 말인데 ㅋㅋㅋㅋㅋ 궁금해서 찾아봤습니다. 결론적으로 고양이들이 바나나를 무서워하는 이유는 바로 냄새 때문이라고 합니다. 특히 바나나 껍질의 'Ethylene'이라는 성분에서 나는 냄새 때문에 고양이들이 기겁한다고 하는데요. 근데 또 대부분의 고양이들은 기겁하지만 어떤 고양이들은 그냥 무시한다고도 합니다. 뭐 사람도 각자 취향이 있으니까 이해는 되네요. 대부분의 고양이들은 그렇다 라고 인지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 'Ethylene'이라는 게 뭐길래 고양이들이 기겁하게 하느냔 말이죠. 이 화학성분은 대게 식물이 익을 때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 더보기
포메라니안(Pomeranian) 제 전공도 생명공학이고 우리 집 강아지도 위 사진과 같이 하얀 포메라니안인데 한 번도 포메라니안에 대해서 알아본 적이 없는 것 같아요 ㅋㅋㅋㅋㅋㅋ.. ㅠ 어렸을 때부터 생물과 동물을 좋아했었고 우리 집 강아지부터 몰랐다니 조금 부끄럽네요 오늘 공부좀 하고 가족이랑 공유해야겠어요 포메라니안은 종종 포메라고도 불리는데요. 요 녀석은 폴란드 북서부 포메라니아 지역과 중부 유럽의 북동부 독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스피츠와 유사한 개 품종입니다. 독일 스피츠의 후손이라고 보면 되겠네요. 서구권에서는 Dwarf Spitz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포메라니안은 18세기 왕족 소유주들에 의해 인기가 많았는데요. 빅토리아 여왕은 작은 포메라니안을 선호했고 그 영향 때문에 작을수록 보편적으로 인기가 더 많았다고 합니다. 포메.. 더보기
어떤 동물을 고양이(Felis catus)라고 부를까? (Feat. 고양이 짤) 고양이는 분류학(Taxonomy) 적으로(종·속·과·목·강·문·계) 고양이(F. Catus), 고양이 속(Felis), 고양이과(Felidae), 고양이아목(Feliformia), 식육목(Carnivora), 포유강(Mam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동물계(Animalia)로 포유류 식육목 고양이과 동물이다. 개와 비교했을때도 고양이아목에서부터 다르게 파생된 것이다. 고양이는 개와 함께 인간사회에서 널리 길러지는 육식 포유동물이다. 사자와 호랑이와 같은 큰 고양이들도 같은 고양이과에 속한다(사자와 호랑이 둘 중 누가 강아지과고 고양이과냐 하는 분들이 있다). 이 모든 고양이과 동물들은 공통 조상으로부터 약 2000만 년 전에 분화했으며 가축화가 된지는 약 5만 여 년전 이집트와 메소포타미.. 더보기
어떤 동물을 개 & 강아지(Canis lupus familiaris)라고 부를까?(Feat. 강아지 짤) 개는 우리 인간사회 전반에 걸쳐 길들일 수 있는 포유동물로 인간과 가장 친숙한 동물 중 하나이다. 분류학(Taxonomy) 적으로(종·속·과·목·강·문·계) 늑대(C. lupus), 개속(Canis), 개과(Canidae), 식육목(Carnivora), 포유강(Mam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동물계(Animalia)이며 회색늑대(Canis lupus formenis)의 아종이다. 따라서 생물학적으로 늑대와 완전히 같은 종이라고 할 수 있다. 흔히 옛말이나 우리 주변에서 진돗개의 조상이 늑대다 또는 개의 조상이 늑대다 라고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틀린 개념이다 왜냐하면 개와 늑대는 동시대를 살아가고 있고 같은 조상에서 갈라져 나온 동물도 아니기 때문이다. 개와 늑대의 유전적.. 더보기